목록학부모를 위한 멘토링 (6)
이영곤의 작은 공간 큰 세상
6월 모평이 얼마남지 않았다. 고3 수험생의 경우 6월 모평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설정한다. 남은 수험기간을 전략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내 실력을 객관적으로 증명받는 시험이다. 이를 기준으로 지원이 가능한 대학을 선정할 수도 있고 남은 기간에 전력질주할 과목을 가늠할 수도 있다. 수시와 정시 지원 전략을 미리 점쳐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문제는 6월 모평에서 기대보다 좋은 점수를 얻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1학년, 2학년 때 좋은 성적을 꾸준히 유지하던 학생의 경우 6월 모평에서 좌절을 경험하는 경우가 흔하다. 남은 수 개월의 기준을 설정하는 중요한 시험이라는 점이 함정이다. 가장 중요한 시험이라 가장 망치는 시험이 되기 쉽다. 더 큰 문제는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최종 결전의 날 수능에서..
수시지원에는 대부분 6장의 카드를 갖게된다. 정확히 따지자면 6장 이상의 카드를 행사할 수도 있으나 예체능 계열 등 특별한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학생의 경우이다. 이 또한 잘 알지 못하는 학부모들이 많다. 대표적인 대학이 한국예술종합대학(한예종 또는 울산에 위치한 UNIST 등이다. 6장의 카드를 행사할 때 학부모와 아이의 갈등이 심화되기 싶다. 6장의 카드를 어디에 행사하는 것이 좋을까? 마지막 모의평가 시험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좋다. 마지막 모평을 기준으로 정시에 지원한다면 합격이 가능한 대학을 선정하고 이를 마지노선으로 삼는다. 즉 정시에서 합격이 가능한 대학을 수시에서 지원하는 것은 좋은 전략이 아니다. 마지노선을 기준으로 상향지원 또는 소신지원 2장, 적정지원 2장, 안정지원 2장 등 포트폴..
고교추천 혹은 학교장추천 전형과 일반전형 중 어느 전형이 더 유리할까? 동일 학교 내 여러 전형이 있는 경우 혼란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이 역시 우수학생을 선발하고 싶은 학교의 전략과 우리 아이의 현황을 함께 살펴보아야 타당한 해법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자. B대학은 '학생부종합 고교추천전형'을 도입하여 전체 선발 인원의 반 수 가량을 선발한다. 추천 대상은 고등학교의 재학인원 4%를 기준으로 제시한다. 고등학교에서는 4%의 할당을 문이과 혹은 성적순 혹은 가능성 등 여러 기준으로 최적화된 모형을 산출한다. 합격 가능성이 첫 번째 기준이라 내신성적을 많이 참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학교장 재량이라 문과와 이과의 비중이 달라지기도 하고 아까운 추천장이 무효화되지 않도록 합격하면 등록할 학생을 고르..
수시에서 6장의 카드를 활용할 수 있다. 6논술은 6장의 카드를 논술전형에 올인하는 경우이다. 학생부종합전형에 자신이 없거나 내신성적이 좋지 않을 경우 선택하는 패이다. 6논술을 선택하는 이유는 다소 이해가 가지만 적절한 해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논술전형에 도대체 누가 합격한거야?"라는 학생들의 의구심도 많고 "우리 반에서 공부 별로 못하는 아이인데 논술전형으로 명문대 합격했어."라는 의외의 결과도 듣게 된다. 이는 논술전형이 공정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반증이다. 입학설명회에서 설명하는 논술전형의 목적을 파악하면 답이 보인다. 내신성적은 좋지 않지만 기본이 뛰어난 학생이 있다면 그들에게도 입학기회를 부여하고 싶다는 것이 학교의 설명이다. 논술전형에 합격하는 학생들의 대부분은 논술준비를 많이 한 학생보다..
고3 아이가 수시지원 합격을 기대한다면 후보학교의 수시지원 설명회에 반드시 참석하는 것이 좋다. 학부모의 센스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기도 하지만 학교가 지향하는 바와 학교의 색깔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2018학년 입시를 위하여 설명회에 참가한 내 경험을 간단히 나누고 싶다. A대학의 입시설명회는 아쉬웠다. 자칭 뛰어난 프리젠터라는 분이 입시설명회를 진행했으나 한 마디로 정의되는 학교의 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어떤 입시 전략을 선택하라는 것인지 이해하기도 어렵지만 꼭 집어 '학교의 비전은 이렇다'라고 표현할 내용도 적당하지 않았다. 최고의 명문사학이라는 자부심의 경계를 넘어섰다. 학생이 가장 가고 싶어 하는 학교이지만 학부모의 입장에서 본다면 어떨까? 한편 B대학의 입시설명회는 학부모의 기대를 넘..
딸 아이가 고 3이다. 수시.정시가 무엇인지 수능이 무엇인지 전혀 감을 잡지 못했다. 아이가 고 3이 된 후 여러 학교에서 개최하는 입시전형설명회에 다녀왔다. 이 글은 여러 학교의 입시전형설명회에 다녀온 후 배운 작은 소감이다. 우선, 각 학교마다 분명한 특색이 있다. 명문대학은 최고의 인재를 선발할 수 있는 기준을 각 대학 별로 운용하고 있고 인-서울에 해당하는 학교 역시 나름대로의 기준을 세워두었다. 이 나름의 기준이 중요한 팁이다. 왜 그런 기준을 세웠는지 이해한다면 우리 아이가 어느 학교에 지원하는 것이 더 타당한 지 좀 더 명쾌하게 알 수 있다. 수능이든, 수시든, 논술이든 모두 같은 기준으로 생각하지 말고 학교 별 다른 기준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A학교는 왜 논술전..